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MSA
- traceId
- Elasticsearch
- grafana tempo
- logstash
- feignclient
- 회고
- RestTemplate
- Spring Integration
- SpringBoot
- Spring
- filebeat
- AccessLog
- kafka
- Sleuth
- nginx
- EDA
- Distributed Tracing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kafka (1)
곰돌이형의 개발일지

들어가며 Event Driven Architecture(EDA)로 개발을 하는 경우, event 전달 방식으로 가장 많이 쓰는 플랫폼 중 하나가 Kafka일 것입니다. 보통 한 도메인에서, 추가, 변경, 삭제가 일어나면 이러한 변화를 이벤트로 보내게 되고, 이것을 다른 도메인에서 받아서 이에 대한 처리를 하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. 이러한 처리는 비동기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, 따라서 처리에 대한 실패도 당연히 있을 수 있습니다. 이런 이벤트 처리에 대한 실패가 있을 때 이것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라는 고민이 항상 있어왔고, 부족하지만 저희 부서에서 처리했던 방식을 공유하고자 합니다. 이벤트를 받아서 처리하는 유형과 주된 처리 실패 원인 한 도메인의 변경을 내부의 다른 도메인에서 받아서 상태를 업데이트..
개발 관련 글
2022. 10. 30. 17:23